센터소개- 전문상담진

상담전화

  • 서울02-944-5800
    • 월~금:10:00~18:00
  • 분당02-944-5932
    • 화~토:13:00~21:00
  • 인천02-944-5907
    • 화~토:13:00~21:00
  • 대구053-755-7573
    • 화~토:13:00~21:00
  • 광주062-352-5885
    • 화~토:13:00~21:00

전문상담진

프린트
전문상담진 표

이우경 교수

이우경 교수

  • 주요경력 :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 박사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임상심리전문가
  • 연락처 : 02-944-5152
학력
  • 가톨릭대학교 심리학 석사(상담 및 임상심리학 전공)
  •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 박사(발달심리학 전공)
경력
  • 임상심리전문가(한국임상심리학회)
  •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(보건복지부)
  • 명상치유전문가(명상치유학회)
  • 용인정신병원 임상심리 레지던트 3년 과정 수료
  • 용인정신병원 임상심리과장
  • 한국임상심리학회 정신보건위원장, 정신보건수련위원장
  • 현)발달지원학회 이사
  • 현)한국임상심리학회 대외협력 부회장
  • 현)서울사이버대학교 전임교수
주요연구실적
  • DSM-5에 의한 최신 이상심리학(2016, 학지사)
  • 한국판 비집착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(2016, 한국콘텐츠학회지)
  • 『Effects of genetic variation in NRGI on cognitive domain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healthy subjects』 (2015)
  • 『Non-attachment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ositional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 - being』 (2015)
  • 『아버지의 딸』 (휴(休), 2015)
  • 『Effectivenes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n symptomatological, neuropsychological and work func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』 (Asia-Pacific Psychiatry, 3, 90-100, 2013)
  • 『Self-compassion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burn out- and psychological health in Korean cyber university students』 (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, 54(8), 2013)
  • 『한국판 상태 성인 애착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』 (신경정신의학, 51권 4호, 2012)
  • 『심리평가의 최신 흐름』 (학지사, 2012)
  • 『기혼부부들의 애착 양식, 감정표현불능증, 결혼 만족도와 우울 증상간의 관련성』 (신경정신의학, 2011)
  • 『마음챙김 명상에 근거한 집단 프로그램이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음성 증상, 정서 상태, 병실 행동에 미치는 영향』 (정신분열병학회지, 2011)
  • 『마음을 챙기면 엄마노릇이 편해진다』 (팜파스,2011)
  • 『입원하고 있는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낙인극복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』 (신경정신의학 49권 5호, 2010)
  • 『입원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소시오드라마의 치료적 효과』 ( 신경정신의학 49권 5호, 2010)
  • 『사랑중독』 (학지사,2010)
  • 『The effects of mindfulness based group intervention on the mental health of middle aged Korean women in community』 (stress and health, 2010)
  • 『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』 (신경정신의학, 2010)
  • 『검지-약지 길이 비율과 심리적 특성의 관련성』 (신경정신의학, 2010)
  • 『한국판 토론토 마음챙김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』 (신경정신의학, 2010)
  • 『정서중심적 부부 치료의 효과』 (신경정신의학, 2010)
  • 『입원중인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산화 인지재활 효과』 (신경정신의학, 2009)
  • 『대학생에서의 해리 경험, 대처 방식, 최면 감수성의 관계』 (신경정신의학, 2009)
  • 『성인기 여성의 스트레스, 마음챙김, 자기-자애,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 증상 간의 관계』 (한국심리학회지:발달, 2008)
  • 『한국판 자기-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』 (한국심리학회지:건강, 2008)
  • 『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실행동에 대한 연구』 (한국심리학회지:임상, 2007)
  • 『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』 (한국심리학회지:임상, 2007)
  • 『한국판 정신질환의 내재화된 낙인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』 (신경정신의학, 2007)
  • 『정서 중심적 부부 치료의 이론과 실제』 (학지사, 2008)
  • 『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』 (학지사, 2006)
  • 『사이코드라마의 이론과적용』 (학지사, 2004)
  • 『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인지재활 훈련과 정서 관리 훈련』 (학지사, 2004)
  • 『정신분석적 접근에서 본 로샤 검사』 (학지사, 2003)